2023.03.28 ~ 2023.11.30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경기도 문화의 날’을 기념하여 실학박물관에서는 <간서치(看書痴) 실학자 되기>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간서치(看書痴)는 ‘책만 보는 바보’라는 뜻의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의 별명으로, 그는 ‘오직 책 보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아, 추위도 더위도 배고픔도 전혀 알지 못했다.’는 글에서 알 수 있듯 대단한 독서광이었습니다. 그의 독서 습관을 본받아 함께 실천해보자는 뜻에서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실학 관련 도서와 이덕무의 구서재(九書齋: 이덕무의 서재 이름) 책갈피를 무료로 나누어 드립니다. 올 한 해 실학박물관과 함께 책만 보는 바보가 되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실학박물관입니다.
오랜만에 발행되는 실학박물관 카드뉴스 7호
코로나19로 제한적 운영을 하다 보니 박물관 소식이 뜸했습니다.
2021년에는 더욱 유용한 정보를 담아 여러분들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1월(7호) 카드뉴스는
1. 2월 설연휴 관람안내
2. 애니메이션으로 본 다산 정약용의 삶
3. 비대면 박물관 프로그램 : 실학이야기 시리즈
4. 실학 소소한 이야기 : 반계수록 톺아보기 영상 등
소식을 담았습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인류세는 ‘인류로 인해 빚어진 시대’라는 의미로, 지구 온난화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구환경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담긴 용어입니다. 기후 변화에 대처한 선조들의 지혜를 배우며, 오늘날 인류가 맞닥뜨린 기후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전시기간: 2022.5.4.(수)~2022.9.12.(월)
전시장소: 실학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2023.03.28 ~ 2023.11.30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경기도 문화의 날’을 기념하여 실학박물관에서는 <간서치(看書痴) 실학자 되기>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간서치(看書痴)는 ‘책만 보는 바보’라는 뜻의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의 별명으로, 그는 ‘오직 책 보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아, 추위도 더위도 배고픔도 전혀 알지 못했다.’는 글에서 알 수 있듯 대단한 독서광이었습니다. 그의 독서 습관을 본받아 함께 실천해보자는 뜻에서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실학 관련 도서와 이덕무의 구서재(九書齋: 이덕무의 서재 이름) 책갈피를 무료로 나누어 드립니다. 올 한 해 실학박물관과 함께 책만 보는 바보가 되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주말 상설로 운영되는 프로그램 ‘실~하게 놀자~!’는 실학박물관 유물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으로 주말을 맞아 박물관을 찾은 많은 가족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여 실학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전시실만 둘러보았을 때는 와닿지 않고, 잊기 쉬운 실학 유물과 실학자를 체험 활동으로 좀 더 친숙하게 접하고, 실학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시집가는 딸에게 아들딸 낳고 다복하게 살라는 의미로 그려준 ‘매화병제도(매조도)’를 주말 가족이 함께 완성해가며 가족사랑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준비한 프로그램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교육기간: 2022년 4월~11월(토요일격주) 신청대상: 가족(회당7가족) 신청방법: 홈페이지 접수
실학박물관입니다.
오랜만에 발행되는 실학박물관 카드뉴스 7호
코로나19로 제한적 운영을 하다 보니 박물관 소식이 뜸했습니다.
2021년에는 더욱 유용한 정보를 담아 여러분들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1월(7호) 카드뉴스는
1. 2월 설연휴 관람안내
2. 애니메이션으로 본 다산 정약용의 삶
3. 비대면 박물관 프로그램 : 실학이야기 시리즈
4. 실학 소소한 이야기 : 반계수록 톺아보기 영상 등
소식을 담았습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22.10.7.(금) ~ 10.8.(토)
○ 장소 : 실학박물관, 정약용 유적지
○ 슬 로 건 : ‘마주보다, 책보다’*
* 독서의 달 표어 공모 최우수작
○ 부 제 : 실학의 현대적 해석
※ 다산의 못다한 사상과 우리가 직면한 사회문제 고찰
○ 주요내용 : 실학ㆍ인문학 콘서트, 공연, 체험, 도서관정책 홍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