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탐색
- 
        실학탐색 
- 
        한중일 실학연표 
- 1890
- 1870
- 1860
- 1850
- 1840
- 1830
- 1820
- 1810
- 1800
- 1790
- 1780
- 1770
- 1760
- 1750
- 1740
- 1730
- 1720
- 1710
189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94년 (고종 31) | 이제마의「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저술 | |||
| 1893년 (고종 30) |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실업론實業論」저술 | 
187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74년 (고종 11) | 영국 동인도회사 완전 해체 | |||
| 중국, 일본과 베이징조약 체결 | 
186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68년 (고종 5) | 김정희의 문집인「완당집阮堂集」간행 | 일본, 메이지유신 단행 | ||
| 중국, 미국과 톈진추가조약 체결 | ||||
| 1867년 (고종 4) | 김정희의 문집인「완당집阮堂集」간행 | 일본에서 에도江戶 막부 멸망 | ||
| 1866년 (고종 3) | 중국이 이탈리아와 통상조약 체결 | |||
| 1864년 (고종 1) | 김정호의「대동지지大東地志」편찬,「대동여지도」재간 | 영국 · 프랑스 등 4개국 연합함대가 일본 시모노세키를 포격 | ||
| 1862년 (철종 13) | 심대윤의「복리전서福利全書」저술 | |||
| 1861년 (철종 12) | 김정호의「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초간 | 대마도對馬島에 러시아 함대 침입 | ||
| 남병길의「성경星鏡」과「추보첩례推步捷例」저술 | ||||
| 1860년 (철종 11) | 최한기의「인정人政」,「운화측험運化測驗」저술 | 요코이쇼난橫井小楠의「국시삼론國是三論」저술 | 영국 · 프랑스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 중국과 베이징조약 체결 | |
| 남병길의「시헌기요時憲紀要」저술 | 
185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59년 (철종 10) | 남병철의「의기집설儀器輯說」저술 혼천의渾天儀와 지구의地球儀 제작 | 일본이 가나가와神奈川 · 나가사키 · 하코다테 등을 개방, 영국 · 러시아 · 프랑스 · 네덜란드 · 미국에 무역허용. 포르투갈과 수호통상조약 체결 | ||
| 1857년 (철종 8) | 최한기의「지구전요地球典要」,「기학氣學」,「우주책宇宙策」저술 | 영국 · 프랑스군이 광둥廣東을 함락, 제2차 아편전쟁 발발 | ||
| 1854년 (철종 5) | 러시아군이 헤이룽강黑龍江 이북을 점령 | |||
| 일본이 미국 · 영국 등과 화친조약을 체결 | ||||
| 1853년 (철종 4) | 미국 사절 페리가 일본 우라가浦賀에 입항, 통상을 요구하는 국서國書를 전달 | |||
| 러시아 사절 부차친이 나가사키長崎에 입항, 통상을 요구 | ||||
| 1852년 (철종 3) | 김정희의「예당금석과안록禮堂金石過眼錄」저술 | |||
| 1851년 (철종 2) | 포세신包世臣의「안오사종安吳四種」저술 | |||
| 1850년 (철종 1) | 박규수의 평혼의平渾儀, 간평의簡平儀, 지세의地勢儀 제작 | 
184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49년 (헌종 15) | 키르케고르의「죽음에 이르는 병」저술 | |||
| 1847년 (헌종 13) | 브론테의「폭풍의 언덕」출간 | |||
| 1846년 (헌종 12) | 리베리에의 해왕성 존재를 이론적으로 예측 | |||
| 1844년 (헌종 10) | 오오쿠라 나가츠네大藏永常의「광익국산고廣益國産考」저술 | |||
| 1842년 (헌종 8) | 위원魏源의「성무기聖武記」저술 | 영국이 청나라의 상해와 남경 점령 | ||
| 1841년 (헌종 7) | 박규수의「거가잡복고居家雜服攷」저술 | 홍콩을 영국에 할양割讓 | ||
| 1840년 (헌종 6) | 아편전쟁阿片戰爭 발발 | 휴얼의「귀납적 과학의 철학」출간 | 
183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38년 (헌종 4) | 와타나베 카잔渡邊華山의「결설혹문鴂說或」저술 | |||
| 1837년 (헌종 3) |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시작 - 해가지지 않는 영국 | |||
| 1836년 (헌종 2) | 최한기의「강관론講官論」과「신기통神氣通」,「추측록推測錄」저술,「신기통」과「추측록」을「기측체의氣測體義」로 합편 뒤에 북경의 인화당人和堂에서 활자판으로 간행 | |||
| 1835년 (헌종 1) | 서유구의「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저술 | 가우스의 전기에 의한 가우스 법칙 제안 | ||
| 1834년 (순조 34) | 정약용의「상서고훈尙書古訓」저술 |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德의「삼재보덕금모록三才報德金毛錄」저술 | ||
| 1833년 (순조 33) | 타카노 쵸에이高野長英의「서설의원추요西說醫原樞要」저술 | 독일의 관세동맹 체결 | ||
| 1832년 (순조 32) | 타카노 쵸에이高野長英의「서설의원추요西說醫原樞要」저술 | 가우스의 전보 기계 발명 | ||
| 1831년 (순조 31) | 괴테의「파우스트」완성 | |||
| 스탕달의「적과 흑」출간 | ||||
| 1830년 (순조 30) | 프랑스에서 7월혁명 발발 | 
182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29년 (순조 29) | 황윤석의 문집인「이재난고頤齋亂稿」,「이재유고頤齋遺稿」 간행 | 외국과의 통상通商 금지 | ||
| 1827년 (순조 27) | 박규수의「상고도문회의례尙古圖會文儀例」저술 | 콩트의 실천철학 강의 시작 | ||
| 1825년 (순조 25) | 서유구의「행포지杏浦志」저술 | 러시아에서 테카브리스트의 난 발발 | ||
| 1824년 (순조 24) | 유희의「언문지諺文志」저술 | |||
| 1823년 (순조 23) | 미국의 먼로주의 선언 | |||
| 1822년 (순조 22) | 정약용이 정법삼집政法三集을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을 지음.「여유당집」을 경집經集 232권과 문집 260여권으로 총괄.「경세유표經世遺表」에서 지향하였던 국가체제가‘체국경야體國經野’임을 밝힘 | |||
| 1821년 (순조 21) | 그리스의 독립전쟁 (1827년까지 지속) | |||
| 헤겔의「법철학 강요」저술 | ||||
| 1820년 (순조 20) | 야마가타 반토山片蟠桃의「꿈같은 시대夢の代」저술 | 
181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19년 (순조 19) | 정약용의「흠흠신서」,「아언각비」저술 | |||
| 1818년 (순조 18) | 정약용의「목민심서」저술. 유배지에서 풀려나 귀향 | |||
| 1817년 (순조 17) | 정약용이「방례초본邦禮草本」(經世遺表) 저술에 착수했으나 완성하지 못하다 | 바이런의「맨프레드」출간 | ||
| 1816년 (순조 16) | 김정희가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발견하고 고증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저술 | 초순焦循의「육경보소六經補疏」저술 | ||
| 공자진龔自珍의「평균편平均篇」저술 | ||||
| 1815년 (순조 15) | 아편 수입 금지 | 수기타겐파쿠杉田玄白의「난학사시蘭學事始」저술 | 영국에서 곡물법을 공포 | |
| 1814년 (순조 14) | 정약전의「현산어보玆山魚譜」저술 | 연합군에 의해 프랑스 파리를 점령 당함 | ||
| 빈 회의 개최 | ||||
| 1812년 (순조 12) | 바이런의「차일드 헤럴드의 편력」출간 | |||
| 1811년 (순조 11) | 서양인이 내지內地에 머무는 것과 포교布敎를 금지 | 
180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807년 (순조 7) | 독일에서 농민해방령을 공포 | |||
| 1805년 (순조 5) | 영국사신英國使臣 내빙 | |||
| 1804년 (순조 4) | 우하영의「천일록千一錄」저술 | 프랑스에서 나폴레옹을 황제로 추대 | ||
| 1803년 (순조 3) | 이종휘의 문집인「수산집修山集」간행 | |||
| 1802년 (순조 2) | 프랑스에서 나폴레옹이 종신대통령이 됨 | |||
| 1801년 (순조 1) | 손성연孫星衍의「환우방비기寰宇訪碑記」저술 | |||
| 1800년 (정조 24) | 프랑스 나폴레옹군의 로마 점령 | |||
| 미국 워싱턴에서 제1회 국회가 개원 | 
179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99년 (정조 23) | 한치윤이 청나라에 다녀온 뒤10여년에 걸쳐「해동역사海東繹史」를 저술 | 완원阮元의「경적찬고經籍纂詁」저술 | ||
| 박지원이「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를 올림 | ||||
| 1798년 (정조 22) | 박지원의「과농소초課農小抄」 저술 |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의「고사기전古事記傳」저술 | 오스틴의「오만과 편견」출간 | |
| 박제가의「소진본북학의疏進本北學議」올림 | ||||
| 1797년 (정조 21) | 이긍익의「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저술 | 왕인지王引之의「경의술문經義述聞」저술 | ||
| 1795년 (정조 19) | 왕염손王念孫의「광아소증廣雅疏證」저술 | |||
| 1793년 (정조 17) | 채제공이 수원水原 화성華城 축성 담당 | |||
| 1791년 (정조 15) | 신해통공辛亥通共 단행, 금난전권禁亂廛權 폐지 | |||
| 1790년 (정조 14) | 이덕무, 박제가가 왕명을 받아「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편찬 | 프랑스 혁명 발발 | 
178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89년 (정조 13) | 이가환이 「천문대책天文對策」을 올림 | 칸트의「실천이성비판」발표 | ||
| 프랑스의 삼부회 소집 | ||||
| 1787년 (정조 11) | 안정복의 「천학고天學考」, 「천학문답天學問答」 저술 | |||
| 유금의 휴대용 천문관측기구인 아스트로 라베 제작 | ||||
| 1786년 (정조 10) | 옹방강翁方綱의「양한금석기兩漢金石記」저술 | 아사다고류麻田剛立의「실험록實驗錄」저술 | ||
| 1784년 (정조 8) | 유득공의「발해고渤海考」저술 | 영국과 미국의 파리조약 체결 | ||
| 칸크의「계몽이란 무엇인가」발표. 계몽주의 유래 | ||||
| 1783년 (정조 7) | 박지원의「열하일기熱河日記」저술 | 칸크의「순수이성비판」발표 | ||
| 1782년 (정조 6) | 실러의「군도」출간 | 
177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79년 (정조 4) | 흄의「자연 종교에 대한 대화」저술 | |||
| 1778년 (정조 3) | 유득공의「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저술 | |||
| 박제가의「북학의北學議」「내편內篇」 탈고, 2~3년 뒤 「외편外篇」 완성 | ||||
| 1777년 (정조 2) | 대진戴震이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을 저술 | 마에노 료타쿠前野良沢의「관려비언管蠡秘言」저술 | ||
| 1776년 (정조 1) | 이덕무, 유득공, 이서구 등이 사가시집四家詩集인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으로 청나라에 알려짐 | 미국의 독립선언 | ||
| 스미스의「국부론」저술 | ||||
| 1775년 (영조 51) | 이덕무의 「사소절士小節」저술 | 단옥재段玉栽의「육서음운표六書音韻表」저술 | 미우라 바이엔三浦梅園의「현어玄語」 저술 | |
| 1774년 (영조 50) | 이익의 문집인「성호집星湖集」간행 | |||
| 1773년 (영조 49) | 홍대용의「의산문답毉山問答」,「주해수용籌解需用」저술 | 미우라 바이엔三浦梅園의「가원價原」저술 | ||
| 1772년 (영조 48) | 장학성章學誠의「문사통의文史通義」저술 | |||
| 1770년 (영조 46) | 신경준의「도로고道路考」저술 | 영국의 차 이외의 수입세 폐지 | ||
| 위백규의「환영지寰瀛誌」저술 | ||||
| 왕명으로 경상감영에서「반계수록」간행 | 
176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69년 (영조 45) | 위백규의「고금古琴」,「정현신보政絃新譜」저술 | |||
| 1766년 (영조 42) | 이덕무의「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저술 | 리드의「상식원리에 의한 인간 정신의 연구」 저술(상시철학 창시) | ||
| 1763년 (영조 39) | 이익의「곽우록藿憂錄」 저술 | 봉천奉川의 해금海禁 해제 | 영국·프랑스·에스파니아의 파리조약 체결 | |
| 루소의「에밀」완성 | ||||
| 1762년 (영조 38) | 안정복의「성호사설유편星湖僿說類編」편집 | 루소의 「사회계약론」저술 | ||
| 1760년 (영조 36) | 이익의「성호사설星湖僿說」저술 | |||
| 홍대용이 나경적과 자명종自鳴鐘 등 기계 제작 착수 | 
175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59년 (영조 35) | 안정복의「동사강목東史綱目」저술 | |||
| 홍대용이 나경적羅景績과 혼천의渾天儀 제작 | ||||
| 1757년 (영조 33) | 안정복의「임관정요臨官政要」,「희현록希賢錄」저술 | |||
| 1756년 (영조 32) | 신경준의「강계지疆界志」저술 | |||
| 1754년 (영조 30) | 정정조程廷祚의「대역택언大易擇言」저술 | |||
| 1753년 (영조 29) | 안도쇼에키安藤昌益의「자연진영도自然真営道」 저술 | |||
| 1752년 (영조 28) | 플랭클린의 피뢰침 발명(전기 일유체설 제창) | |||
| 볼테르의 「캉디드」출간 | ||||
| 1751년 (영조 27) | 이중환의「택리지擇里志」 저술 | |||
| 1750년 (영조 26) | 정상기의「농포문답農圃問答」저술 | 혜동惠棟,「고문상서고古文尙書考」저술 | 루소의「과학과 예술론」저술 | |
| 신경준의「운해훈민정음韻解訓民正音」저술 | 
174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48년 (영조 24) | 흄의「인간 오성에 관한 철학 논집」출간으로 귀납의 문제 제기 | |||
| 몽테스키외의「법의 정신」저술 | ||||
| 1745년 (영조 21) | 토미나가 나카모토富永仲基의「출정후어出定後語」저술 | |||
| 1744년 (영조 20) | 쾨글러의「의상고성」출간(행성에 관한 캐플러 법칙 소개) | |||
| 1742년 (영조 18) |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쟁탈전 시작 | |||
| 쾨글러의「역사고성후편」출간 | ||||
| 캐플러가 천문 이론을 소개 | ||||
| 1741년 (영조 17) | 유수원의「관제서승도설官制序陞圖說」 올림 | 
173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39년 (영조 15) |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의「도비문답都鄙問答」저술 | |||
| 1738년 (영조 14) | 베르누이의「유체역학」출간 | |||
| 1737년 (영조 13) | 유수원의「우서迂書」저술 | |||
| 1736년 (영조 12) | 몽테스키외「볼테르 등 계몽사상가들의 활동 | |||
| 1734년 (영조 10) | 볼테르의「철학서간」출간 | |||
| 1730년 (영조 6) | 플램스티스의「천문표」출간 | 
172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29년 (영조 5) | 영국 등 여러 나라와 무역 시작하다 아편판매 금지 | 베르누이의 액주압력계 발명 | ||
| 1726년 (영조 2) | 스위프트의「걸리버여행기」출간 | |||
| 1725년 (영조 1) | 진몽뢰·장정석의「고금도서집성」편찬 | |||
| 1721년 (경종 1) | 쾨글러의「황도총성도」출간(3083개의 별을수록) | 
1710History
| 년도 | 한국 | 중국 | 일본 | 세계사 | 
|---|---|---|---|---|
| 1717년 (영조 4) | 오규소라이荻生徂來의「변도弁道」저술 | |||
| 1715년 (숙종 41) | 이익의「사칠신편四七新編」저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