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EDUCATION
교육&행사
교육
-
-
초등 단체 비대면 교육 <교실로 온(on) 실학>
-
- 0
-
무료
대상 ① 초등 3~4학년 학급 단체 ② 초등 5~6학년 학급 단체 접수기간 2025-02-24(월) ~ 2025-11-21(금)
2025년 2월 24일부터 선착순 마감 (총 25회)기간 2025-03-31(월) ~ 2025-11-25(화) 매주 월~화요일 중 희망 요일 / 오전 9:30 ~ 10:40 (70분 수업)
장소 원격 교육 / 온라인 교육환경(Zoom)이 갖추어진 장소 참가비 무료 예약하기
-
-
초등 단체 비대면 교육프로그램 ‘교실로 온(on) 실학’
-
■ 프로그램 안내‘교실로 온(on) 실학’은 실학자 정약용과 김정호를 주제로, 역사 문화를 탐구하는 교육입니다.
-
①[초등 3~4학년] 정약용의 가족사랑, 매조도 만들기정약용이 유배지에서 남긴 글과 그림을 통해 가족의 사랑과 유대감을 알아보고, 나만의 작품을 만들어 보는 체험을 진행합니다.
-
②[초등 5~6학년] 우리산천 바로알기, 대동여지도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를 통해 실학이 추구한 실용적 지식과 탐구 정신을 배우고, 제작 방식(분첩절첩식)을 알 수 있는 소형 지도를 만들어봅니다.
-
○ 프로그램 개요・교육장소 : 원격 교육 / 온라인 교육환경(Zoom)이 갖추어진 장소・교육대상 : ① 초등 3~4학년 학급 단체 ② 초등 5~6학년 학급 단체・교육기간 : 2025년 4월 ~ 6월(상반기) / 9월~ 11월(하반기)・교육시간 : 매주 월~화요일 중 희망 요일 / 오전 9:30 ~ 10:40 (70분 수업)・교육비용 : 무 료・신청방법 :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 프로그램 상세 내용은 실학박물관 누리집(silhak.ggcf.kr) 참고・신청기간 : 2025년 2월 24일부터 선착순 마감 (총 25회)
-
○ 학습 과정안 (초등 3~4학년)
교육명 [초등 단체 비대면 교육프로그램]정약용의 가족 사랑, 매조도 만들기 대상 초등 3~4학년 교육 시간 70분 학습 주제 - 정약용의 가족 사랑이 담긴 《매조도》에 대해 알아보고, 소중한 사람을 위한 편지를 쓴다. 학습 목표 - 정약용의 그림 《매조도》의 제작 배경과 의도, 그림 구성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나에게 소중한 사람을 떠올려 보고, 보고 싶은 마음을 시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관련 교과
성취 기준
- [4사04-03]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통신수단의 변화에 따른 정보 교류와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설명한다.
- [4사06-01] 지역의 문화유산을 통해 문화유산의 의미와 유형을 알아보고, 문화유산의 가치를 탐색한다.
- [4사06-02] 지역의 박물관, 기념관, 유적지 등을 체험하고 지역의 역사를 이해한다.
프로그램 개요 본 프로그램은 정약용이 강진 유배 생활을 하던 중 어릴 때 헤어졌던 딸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선물한 「매조도(매화병제도)」를 중심으로 가족 간의 유대와 사랑을 느껴보는 교육이다. 아버지 정약용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시와 편지 등을 살펴보며 정약용과 가족의 이야기를 알아보고, 나에게 소중한 대상을 떠올리며 나만의 「매조도」를 만들어본다. 구분 시간 세부내용 참고 사진 들어가기 5분 인사 나누기
실학박물관 및 프로그램 소개
전개 20분 '정약용' 알아보기
① 실학자 정약용의 뛰어난 업적
② 아버지이자 남편인 정약용의 가족적인 모습
- 부인 홍혜완의 편지, 《하피첩》, 〈매화병제도〉 등
20분 매조도(매화병제도) 감상하기
① 질문을 통해 나만의 관점에서 매조도 감상하기
② 매조도 그림의 상징과 뜻 이해하기
20분 나만의 매조도 만들기
① 나에게 소중하거나 보고 싶은 대상을 떠올리며 편지쓰기
② 매조도 도안을 꾸미고, 편지를 옮겨적어 매조도 완성하기
③ 작품 소개 및 발표하기
마무리 5분 - 수업 마무리 및 설문조사 참여 -
○ 학습 과정안 (초등 5~6학년)
교육명 [초등 단체 비대면 교육프로그램]우리산천 바로알기, 대동여지도 대상 초등 5~6학년 교육 시간 70분 학습 주제 - 조선시대 지리학자 김정호와 그가 만든 우리나라 지도 대동여지도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 목표 - 지리학자 김정호가 만든 다양한 지도와 지리서에 대해 알아본다.
- 대동여지도의 제작 방법, 구성, 특징을 알아본다.
- 과거와 달라진 현대 지도와 온라인을 통한 우리 지역 지리 정보 탐색 방법을 배워본다.
관련 교과
성취 기준
- [6사01-01] 우리나라 산지, 하천, 해안 지형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형의 분포 특징을 탐구한다.
- [6사05-02] 조선 후기 사회⋅문화적 변화와 개항기 근대 문물 수용 과정에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을이해한다.
프로그램 개요 본 프로그램은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를 주제로, 그가 만든 다양한 지도와 <대동여지도>에 대해 알아보는 교육이다. 대동여지도 교구재를 이용해 대동여지도의 특징을 학습하고, 소형 지도 스티커를 통해 분첩절첩식 제작 방식을 알아본다. '국토지리정보원-어린이지도여행'을 통해 과거와 다른 현대 지도와 온라인을 통해 지리 정보를 찾는 방법을 배운다. 구분 시간 세부내용 참고 사진 들어가기 5분 인사 나누기
실학박물관 및 프로그램 소개
전개 20분 '김정호' 알아보기
① 조선의 독자성 인식과 역사, 지리, 언어, 문화 연구(국학)
② 지리학자 김정호와 그가 만든 지도와 지도서
- 청구도, 지구전후도, 대동여지도, 대동지지 등
25분 대동여지도의 제작 방식과 특징
① 제작 방식 : 목판, 분첩절첩식
② 지도 특징 : 기호, 10리 방점, 산맥과 물줄기 표시, 정확성
15분 소형 대동여지도 만들기
- 교구재의 스티커를 활용하여 소형 대동여지도 완성하기
마무리 5분 - 수업 마무리 및 설문조사 참여 -
○ 신청방법・인터넷 신청
-
-
① 경기문화재단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 회원가입
-
② 지지씨멤버스 홈페이지 교육/행사 - √ 모든기간 √ 모든대상 √ 실학박물관 검색
-
③ ‘교실로 온(on) 실학’ 참가 정보 입력 및 교육 신청※ 교육 희망일 수기 입력
-
④ 신청 내용 담당자 확인 후 전화로 확정 통보 후 최종 신청 완료
-
○ 유의 사항
-
- 지지씨멤버스로 신청한 뒤 담당자와 전화로 세부 사항 확정이 필요합니다.
-
- 불가피한 교육 취소의 경우 최소 1주일 전 전화로 취소 의사를 전달해야 합니다.
-
- 시청각 학습 장비(태블릿, 웹캠 포함 컴퓨터나 노트북 등, 마이크 등)를 자체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온라인 화상회의(Zoom) 프로그램으로 인터넷 활용 원격 수업이 가능한 환경이어야 합니다.
-
- 예약 신청 시 입력한 주소로 수업일 기준 1주 전 교구재가 발송되며, 주소 오류로 인한 재발송은 어려운 점 양해 바랍니다.
-
- 교육 후기 사진은 박물관 홍보 및 발간물 등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 문 의 :실학박물관 학예연구팀 (☎ 031-579-6021)
-
-
-
초등 단체 비대면 교육 <교실로 온(on) 실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