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련유사迦蓮幽詞

거가사본居家四本

거가사본居家四本

다신계절목茶信契節目

황경의 《양포총서蘘圃叢書》1

황경의 《양포총서蘘圃叢書》2

작비암일찬昨非庵日纂

작비암일찬昨非庵日纂

정황계첩丁黃契帖 1

정황계첩丁黃契帖 2

초의가 그린<다산초당도>

초의시고 표지

초의시고

치원총서
전시EXHIBITION
전시
특별전시
전시기간 | 2014-06-24(화) ~ 2014-10-10(금) |
---|---|
장소 | 1층 기획전시실 |
기획 | 실학박물관 |
주최주관 | 실학박물관 |
경기도 실학박물관(관장 김시업)은 다산 정약용의 유배지인 강진에서 결성된 다산학단의 활동을 살핌으로서 경기도 실학문화의 지역적 전파를 조명하는 특별전을 개최한다.
전시 일정은 2014. 6. 24∼10.10이다. 이 전시는 2015년 강진군 다산기념관과 공동 순회전시도 현재 협의 중에 있다.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실학사상은 지역적으로 확산하였다. 그 중심에 우뚝 선 인물은 다산 정약용(1762∼1836)이다. 그는 503권 182책의 거대한 저술의 탑을 쌓아올린 대표적인 실학자이다.
다산의 저술은 주로 강진 유배기에 이루어졌다. 현전하는 「여유당전서」 503권 182책은 한 인간이 평생 베껴쓰기만 하기에도 불가능한 분량이다. 또한 그 저작들은 방대하면서 조리정연하고 예리하다.
인간 능력의 한계를 넘어선 저작의 탄생은 유배지 제자들과 함께 한 작업의 결실이었다. ‘복숭아뼈가 세 번이나 구멍이 뚫리는 고통’을 이긴 다산의 학문적 열정과 헌신적인 제자들과의 공동 집체 저술은 한자문화권 최대의 저술을 이루어낸 것이다.
또한 「여유당전서」는 치열한 희망주의의 산물이었다. 개혁에의 이상과 철저히 괴리된 절망의 현실을 딛고 서서 다산은 강진의 학동들을 당당한 학자로 길러 내었다. 제자들은 스승의 학문 정신을 몸과 마음에 체득했고 이를 실천했다.
다산의 강진 제자들의 구성은 다양하다. 양반 자제와 함께 읍중 제자들(이속층) 그리고 일군의 승려들도 있다. 조선에서 사제 관계의 전통으로 보아도 매우 특기하다. 다산은 개인적 처지가 가장 어려웠던 시기에 사대부 뿐 아니라 신분이 낮은 여항인과 승려와 교유하며 사제의 연을 맺었다.
다산이라는 큰 나무아래에서 제자들은 각자의 자질과 개성에 따라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 천문학‧농학‧지리학·역사·기술·외교·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을 남겼다.
스승이 유배에서 풀려 집으로 돌아갈 때 제자들은 ‘다신계’를 결성했다. 서로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매년 봄 가을 두 차례 모임을 개최하여 스승에 대한 존경의 마음을 새겼다.
이처럼 유배지의 제자들-다산학단은 위대한 학문적 성과를 쌓아 올렸다. 그리고 강진‧해남 등 먼 바닷가의 고을에 ‘문명향’이란 명예를 안겼다.
이번 전시는 다산학단 인물들의 유물을 다수 공개한다. 황상, 윤정기, 이청, 이강회 등 다산 정약용과 함께 꿈꾸었던 제자들의 미공개 유물을 통해 그들의 정신을 느끼고 체험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체험프로그램으로 다산과 제자가 함께 그린 <강진해안지도> 목판 탁본 체험과 아이들용 한자 교육을 위해 다산이 편찬한 2000글자 「아학편兒學編」스템프 체험, 그리고 ‘다산 실학마을 지도 그리기’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배지의 제자들 – 다산학단
경기문화재단(이하 ‘재단’)은 정보주체의 자유과 권리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기문화재단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지지씨멤버스(members.ggcf.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