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신수 유물 현황
-
작성일: 2021.11.05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93
-
- 0
2018년 신수 유물 현황
유물명(구입) | 수량 | 시 대 | 유물명(구입) | 수량 | 시 대 |
---|---|---|---|---|---|
택리지(연활자) | 1 | 조선 | 이십일도회고시 | 1 | 조선 |
추사학단 초상첩 | 1 | 〃 | 주비경해 | 1 | 〃 |
방성도해필사본 | 1 | 〃 | 연행별어 | 1 | 〃 |
종대아수전어등행렬 | 1 | 〃 | 정인보 유묵 | 1 | 20세기 |
환영지 이본 | 1 | 〃 | 교남지 | 1 | 조선 |
지구전후남북항성도 | 1 | 〃 | 조선환여승람 | 67 | 〃 |
한객건연집 | 1 | 〃 | 해시계 | 1 | 〃 |
한객건연집 | 1 | 〃 | 붓, 먹, 벼루 | 7 | 〃 |
四家詩(한객건연집의 이칭) | 1 | 〃 | 백자청화매화문연적 | 1 | 〃 |
유물명(수증) | 수량 | 내용 | 시 대 |
---|---|---|---|
목민서 (牧民書) |
1 | -<牧民攷>의 내용을 부분 필사한 책 -목민고는 조선후기 수령이 지녀야 할 정신자세와 治民의 요령을 수록 |
조선 |
산림경제 (山林經濟) |
1 | – 홍만선이 지은 책으로 필사본임 – 표지에 ‘利’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4책이며 주로 <救急>에 대한 내용임 – 박물관의 소장판본과 비교하면 몇 개의 항목이 추가로 필사되어 차이를 보임 |
〃 |
(연행)노정기(路程記) | 1 | -중국 사행 중 해로사행노정을 기록 한 서첩임 -해로사행의 기록은 현전하는 그림에 는 기록된 바가 확인되지만, 첩으로 된 형태는 매우 드묾 -노정과 광해군13년(1621) 해로사행 에 대한 기문을 수록하고 있음 |
〃 |
지구만국방도地球萬國方圖 | 1 | -매우 정교하게 제작된 세계지도임 -일본에서 명치4년(1871) 제작한 인 쇄본이며 세계 각 지역의 정보가 별 표로 기록되어 있음 |
〃 |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
1 | – 소하4년(1929) 간행한 연활자본 –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정약용의 둘째 아들) – 조선후기 농촌풍경을 노래한 월령체 가사의 백미로 평가받음 |
〃 |
팔역지 (八域誌) |
1 | -대정10년(1921) 일본 동경에서 간행 한 활자본(택리지의 이본) -호소이 하지메[細井肇]가 편집 |
일제 |
도강록 (渡江錄) |
1 | – 박지원의 <열하일기> 권11에 수록된 도강록의 활자본임 – 1946년 간헹된 초간본임 |
조선 |
도강록 (渡江錄) |
1 | – 박지원의 <열하일기> 권11에 수록된 도강록의 활자본임 – 1946년 간헹된 초간본임 |
〃 |
북학의 (北學議) |
1 | -1947년 협동문고 간행된 초판본으로 활자본임 -박제가의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 쓴 책 |
〃 |
사가시 (四家詩) |
1 | -대정10년 간행한 연활자본임 -박제가(朴齊家)·유득공(柳得恭)·이서구 (李書九)·이덕무(李德懋)의 시를 엮은 문집임 |
일제 |
격치(格致) | 1 | – 조선후기, 필사본 – 풍수감여관련 기록이며 경상도지역 군현들의 풍수적 위치와 명당을 기록하고 있음 – 도선대사, 정감록의 설을 인용 |
조선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상하우좌로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보이지 않음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상하우좌로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統二王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官木四“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官木四“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賑二“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尹宙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賑二“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戶宇三“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戶宇仇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土二“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상하우좌로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부식 |
〃 |
상평통보 | 1 | – 앞면에 常平通寶 라는 글씨 – 상하우좌로 중간의 방형구멍 – 뒷면은 부식 |
〃 |
안경 | 1 | –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의하면 광해군 6년(1614년) 안경 전래 기록 – 1580년 경에 중국을 통해 안경이 전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