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하피첩의 귀향’ 기획특별전
기간/ 2016.10.17(월) ~ 2017.03.26(일)
장소/ 실학박물관 기획전시실
□ 고유제 일정
○ 환안고유제는 다산 선생의 서거 180년으로 하피첩이 선생의 고향인 실학박물관에서 국민들에게 전시되는 것을 기념하여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인 문도사文度祠에서 잔을 올리는 추모 고유제 형식으로 거행함 ○ 일 시 : 2016. 10. 17(월) 14:00~15:00
○ 장 소 : 실학박물관 로비 및 다산유적지 문도사
시 간 | 내 용 | 안 내 | 장 소 |
---|---|---|---|
14:00~14:15 | 환복 | 제복 환복 | 다산문화관 |
14:15~14:20 | 기념사진 | 제관, 집사, 내빈 사진 촬영 | 동상 앞 |
14:20~14:50 | 고유제 및 봉헌 | 고유 및 봉헌 | 문도사 |
14:50~15:00 | 환복 | 평상복으로 환복 | 다산문화관 |
□ 개막식 일정
○ 일 시 : 2016. 10. 17(월) 15:00~16:00○ 장 소 : 실학박물관 로비
○ 참석대상 : 유관단체, 실학자 후손 등 100명 내외
시 간 | 내 용 | 안 내 | 장 소 |
---|---|---|---|
15:00~15:20 | 공연 | 창작 가곡 ‘하피첩’ | 박물관 로비 |
15:20~15:40 | 개막식 | 내빈소개 | |
인사말 | 실학박물관장 | ||
격려사 |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 ||
축 사 | 경기도의회 의원 | ||
15:40~15:50 | 테잎 커팅 | 내빈 | 전시실 |
15:50~16:10 | 특별전 관람 | 정성희(전시담당 학예사) | |
16:10~17:00 | 리셉션 | 참석자 모두 | 열수홀(강당) |
– 창작가곡은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가곡’의 전통연주방식임 – 조선 선비문화의 한 형태로 관현반주와 함께 긴 가락의 노래로 불리는 ‘시창詩唱’ 형식임 |
– 노래 : 강숙현(풍류단 시가인詩歌人 대표) – 피리 : 박영기(경기도립국악단 수석, 중요무형문화재 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 – 공연 : ‘<하피첩> 서시序詩’, ‘쓰러진 나무에 싹이 나고’, ‘매화병제도’ 3곡 |
□ 주요 유물 자료
▶ 하피첩 霞帔帖1810년(순조 10) | 필사본 | 24.8×15.6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807년 봄, 홍씨 부인은 유배 생활중인 남편 다산선생에게 시집올 때 입었던 붉은색 비단치마를 보냈다. 다산 선생은 그 오래된 비단 치마를 말라서 1807년부터 1809년까지 두 아들에게 경계의 말을 적어 보내면서, 이것을 《하피첩》이라 명명하였다. 《하피첩》은 원래 4첩으로 이루어졌는데, 현재 3첩만 남아 전한다.
▶ 매화병제도 梅花倂題圖
1813년(순조 13) | 필사본 | 38.5×17 |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813년 7월 유배기에서 다산 정약용은 시집가는 딸에게 매화와 새를 그린 그림을 보내준다. 두 마리의 새처럼 다복한 가정을 꾸미고 풍성한 열매를 맺어 집안이 번창하기를 기원한 아버지의 마음을 담았다.
전시영상
하피첩의 귀향 VR보기
2016년 10월 17일부터 2017년 3월 26일까지 진행되었던 실학박물관 기획특별전 <하피첩의 귀향>을 못보신 분들을 위하여 VR영상으로 기록했습니다. 전시해설과 함꼐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