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세-기후변화의 시대
실학박물관 개관 13주년 기획전
‘인류세, 기후변화의 시대’
‘인류세, 기후변화의 시대’
※ 인류세(人類世, Anthropocene)란?
네덜란드 대기과학자로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천이 2000년에 처음 제안한 용어로, ‘인류가 지구 기후와 생태계를 변화시켜 만들어진 새로운 지질시대’를 말한다. 인류세의 시작은 보통 1950년대 이후부터로 본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유행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관심이 주춤한 상태이지만, 전 세계 과학자들은 지구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산업혁명 이후 지구표면온도는 1℃ 이상 상승하였는데, 지난 1만년 동안 지구 스스로 4℃ 상승된 자연적인 기후변화와 비교하면 25배 빠른 증가속도로 ‘거대한 가속(Great Acceleration)이라 부릅니다. 심지어 2030년까지 1.5℃ 이내로 온도상승을 막지 못하면 6번째 대멸종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하는 전문가도 있습니다.네덜란드 대기과학자로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천이 2000년에 처음 제안한 용어로, ‘인류가 지구 기후와 생태계를 변화시켜 만들어진 새로운 지질시대’를 말한다. 인류세의 시작은 보통 1950년대 이후부터로 본다.
지구온난화에 대응하여 국제사회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은 기후 위기를 막고자 과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하고자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시나리오와 대책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후 위기 극복,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혜를 배우는 전시”
이번 전시 <인류세, 기후변화의 시대>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혜를 배우고자 준비하였습니다.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역사와 이상기후,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에 대응한 선조의 지혜를 살펴보고 현재의 기후 위기를 고민해 보았습니다. 지구 탄생 후 45억년 동안 기후변동은 지속되었으며, 인류는 크고 작은 기후위기에 닥칠 때마다 슬기롭게 적응해 나갔습니다. 인류세 기후변화가 과거와 다른 점은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간이 급격한 기후변화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점입니다. 위험에 빠진 지구를 살리기 위해선 성장 위주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조선시대 실학자들이 주장했던 자연친화적 사고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전시는 1부 ‘하늘을 살피다’, 2부 ‘기후변화에 대처하다.’, 3부 ‘기후온난화와 기후행동’ 등 총 3부로 구성됩니다.










다양한 시각에서 저술한 기후 및 환경 관련 책들이 마련되어 있으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전시 관람 후 지구를 위한 나의 다짐을 적어보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전시 기간 중 ‘숲해설 체험교육’과 ‘SNS 지구환경 살리기 캠페인’ 등도 함께 진행됩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