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끝없는 이야기를 창조하다
진행기간
2016.09.29(목) ~ 2016.11.24(목)
장소
경기문화재단 3층 강의실
대상
신화에 관심 있는 도민 및 문화예술인 50명

커리큘럼
구분 | 제목 | 강사 |
---|---|---|
1강 09.29. |
남방실크로드 신화의 길 – ‘남방 실크로드’란? – 쓰촨에서 서아시아까지 – 교역의 길, 신화의 길 |
김선자 (연세대) |
2강 10.06. |
중국 윈난성 소수민족의 신화 세계 – 윈난성은 어떤 곳인가? – 윈난성 소수민족의 정체 – 윈난성 소수민족 신화의 통일성과 다양성 |
김헌선 (경기대) |
3강 10.13. |
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먀오족>의 신화 세계 – 먀오족의 삶과 옛이야기 – 먀오족의 신화 – 우주, 세상의 시작 그리고 인류와 먹거리의 기원 |
김혜정 (단국대) |
4강 10.20. |
중국 쓰촨성 <싼싱두이 유적>과 신화 – 싼싱두이의 발견과 고촉(古蜀) 문명 – 청동신수와 태양신화 – 문명교류로 보는 황금가면 |
홍윤희 (연세대) |
5강 10.27. |
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와족>의 신화 세계 – 아와산의 원시부족, 와족 – 와족의 곡물 기원신앙과 신화 – 와족의 축제- ‘나무 북 끌기’와 ‘머리카락 춤’ |
나상진 (중앙대) |
6강 11.03. |
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이족>의 신화 세계 – 이족의 민족 개관과 그 주요 제의 – 이족의 주요 신화자료집들 – <이족창세사>의 주요 신화소와 우리의 창세신화 |
권태효 (국립민속박물관) |
7강 11.10. |
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바이족>의 신화 세계 – 남방 실크로드의 주요 길목, 다리(大理) – 바이족의 본주(本主) 신앙과 신화 – 대흑천신(大黑天神)과 신화의 길 |
김선자 (연세대) |
8강 11.17. |
인디아/인도네시아의 신화 세계 – 인도의 신화는 어떻게 동아시아로 갔는가 – 남인도 사원과 인도네시아의 라마야나 조각들 – 인도의 자타카 문헌과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Borobudur)의 마노하라 신화와 조각 |
심재관 (상지대) |
9강 11.24. |
베트남 소수민족 신화 세계 – 베트남 소수민족의 분포 – 베트남 소수민족 신화의 채록 현황 – 베트남 소수민족의 신화세계 |
최귀묵 (고려대) |
우리 신화와 그리스신화밖에 몰랐었는데 중국과 인도에 베트남까지에
더구나 쟁쟁한 강사진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