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박물관 교원연수
2013년도 상반기 실학박물관 교원연수
실학박물관(관장 김시업)에서는 2013년 상반기 교원연수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도내 및 전국 교원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사업개요
- 주제/ 실학(實學)과 조선후기 역사 · 문화
- 장소/ 실학박물관 회의실, 박물관 · 유적지 현장
- 대상/ 전국 초 · 중등교원 및 교육전문직
- 기간/ 7. 29 (월) ~ 8. 2 (금) 5일간
- 내용/ 개혁적, 실천적 학문 사조인 실학사상을 포함한 조선후기 사상 및 역사 · 문화 전반을 초 · 중등 교원이 교육 및 체험함으로써 실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학교 교육에 활용함
모집요강
- 연수기간/ 하계방학 중 7. 29 (월) ~ 8. 2 (금) 5일간
- 강의시간/ 10:00~16:50 (제1일 09:00 ~ 등록 및 개강식)
- 이수시간 및 학점/ 총 30시간 2학점
- 접수기간/ 2013. 6. 25 (화)∼7. 18 (목) 선착순 접수
- 접수방법/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한 후 신청서 팩스 송부 (031-579-6041) 또는 이메일 접수 (mcj3180@naver.com)
- 참가인원/ 20명 (대기자 5명)
- 수강료/ 30,000원<br/ >
※ 입금방법 : 농협 317-0001-2208-71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취소방법 : 7월 18일 (목) 이전 취소분에 한하여 송금액 제하고 전액 환불. 이후는 환불 불가
- 연수목적
- 개혁적, 실천적 학문 사조인 실학사상을 포함한 조선후기 사상 및 사회 · 문화 전반을 초 · 중등 교원이 교육 및 체험함으로써 실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학교 교육에 활용함
- 테마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사와 박물관 교육담당자간의 긴밀한 상호협조체제를 구축하여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제고함
- 지역박물관의 특성을 살린 다양하고 특색있는 교원연수프로그램의 자율적 실현을 통해 체험 현장학습 및 교육활동을 유도함
- 연수방침
- 경기도를 중심으로 발달한 개혁적 · 실천적인 실학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그 주제로 함
- 역사 · 문화에 대한 전문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을 통해 실학사상이 추구하고자 했던 실제적이며 실용적인 교육을 지향함
- 실학 관련 전공 연구자들의 전문적인 강의와 현장학습을 교과서의 내용과 연계하므로써 교원들의 학생 지도력 제고
- 담당자/ 학예팀 장문철 (031-579-6011)


교과편성
구분 | 주제 | 시수 | 수업방법 | ||
---|---|---|---|---|---|
강의 | 참여 | 실습 | |||
계 | 교과과정별총이수시간 | 13 | 18 | 12 | |
강의 | 상설 · 특별전시실 관람 및 다산 유적, 마재 마을 답사 | 1 | 2 | ||
다산 사상에 나타난 공직윤리 | 1 | 2 | |||
오늘, 우리에게 실학이란 무엇인가 | 1 | 2 | |||
조선후기 지도 제작의 발달 | 1 | 2 | |||
실학시대 문학과 예술 | 1 | 2 | |||
조선후기의 연행 · 문명체험 | 1 | 2 | |||
조선후기 회화 – 진경산수화와 풍속화 | 1 | 2 | |||
조선시대 천문의기와 그 이해 | 1 | 2 | |||
정조와 실학자들 | 1 | 2 | |||
답사 | 현장 답사 – 화성(수원) | 1 | 3 | ||
현장 답사 – 성호기념관(안산) | 1 | 3 | |||
현장 답사 – 홍대용 관련유적(천안) | 1 | 3 | |||
현장 답사 – 실학과 천주교(천진암/광주 퇴촌) | 1 | 3 |
세부교과 편성
교시 날짜 | 1교시 | 2교시 | 3교시 | 4교시 | 5교시 | 6교시 |
---|---|---|---|---|---|---|
10:00 ~ 10:50 | 11:00 ~ 11:50 | 13:00 ~ 13:50 | 14:00 ~ 14:50 | 15:00 ~ 15:50 | 16:00 ~ 16:50 | |
제1일 (7월 29일, 월) |
상설 · 특별전시실 관람 및 다산 유적, 마재 마을 답사 | 다산 사상에 나타난 공직윤리 | 오늘, 우리에게 실학이란 무엇인가 | |||
김형섭 (실학박물관 학예사) |
박석무 (실학박물관 석좌교수/ 다산연구소 이사장) |
김시업 (실학박물관 관장) |
||||
제2일 (7월 30일, 화) |
현장 답사 – 화성(수원) | 현장 관람 – 성호기념관(안산) | ||||
이달호 (수원화성박물관장) |
조준호 (실학박물관 학예사) |
|||||
제3일 (7월 31일, 수) |
조선후기 지도제작의 발달 | 실학시대 문학과 예술 | 조선후기의 연행 · 문명체험 | |||
이기봉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전문원) |
이지양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
임형택 (실학박물관 석좌교수) |
||||
제4일 (8월 1일, 목) |
현장 답사 – 홍대용 관련유적(천안) | 현장 답사 – (천진암/광주 퇴촌) | ||||
정성희 (실학박물관 학예사) |
조광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
|||||
제5일 (8월 2일, 금) |
조선후기 회화 | 조선시대 천문의기와 그 이해 | 정조와 실학자들 | |||
김정숙(고려대학교 강사) | 이용삼(충북대학교 교수) | 김문식(단국대학교 교수) |
※ 평가계획 : 성적을 산출하지 않는 연수로서 출석률 90% 이상을 수료로 인정함.
참가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