짙고 덥수룩한 턱수염을 가진 박제가, 박제가 초상朴齊家肖像
제작연도/ 1790년(정조 14)
작가(출처)/ 라빙
- 일본의 실학자 미우라 바이엔의 저술, 《현어玄語》와 현어도玄語圖
- 일본의 실학자 미우라 바이엔의 글씨
- 중국의 고증학자인 고염무의 문집, 《일지록日知錄》
- 평안도 용강과 서울의 여름·겨울의 길이 차이는 왜 생기는 걸까?
- 박규수의 자주적인 개화사상을 모은 《환재집瓛齋集》
- 동양의 전통 사상과 서양의 선진사상을 융합하여 만든 독창적인 실학 사상,《기측체의氣測體義》
- 조선시대 인사행정의 문제점을 지적한 책, 《인정人政》
- 집안의 가학家學으로 전해진 백과사전 형식의 저술,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 책을 좋아한 실학자 이덕무가 편찬한 백과사전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농가農家를 위한 경제서, 《산림경제山林經濟》
- 조선 전국의 역사지리 정보를 담은 《대동지지大東地志》
- 고증학적인 방법론으로 한국사를 객관적으로 정리한 《해동역사海東繹史》
- 중국과의 역사전쟁을 대비한 《발해고渤海考》
- 우리나라 역대 서울을 시로 읊은 《이십일도회고시주二十一都懷古詩註》
- 고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 《동사강목東史綱目》
- 한글을 독창적으로 연구하여 자모字母를 분류하고 해설한 책, 《언문지諺文志》
- 북한산 비봉碑峰의 비석이 진흥왕순수비임을 밝힌 김정희의〈북한산순수비 발문北漢山巡狩碑跋文〉
- 농촌생활의 모든 정보를 담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 상업과 유통의 발달을 위한 도로망의 정비, 《도로고道路考》
- 실용의 실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걸작, 《북학의北學議》
- 짙고 덥수룩한 턱수염을 가진 박제가, 박제가 초상朴齊家肖像
- 중국 열하熱河까지 몇 천리의 대장정, 《열하일기熱河日記》
- 박지원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박지원 초상朴趾源肖像
- ‘우주무한론’을 펼친 홍대용의 《의산문답毉山問答》
- 다산의 부국강병의 꿈을 담은 《경세유표經世遺表》
- 동아시아의 최고의 목민서牧民書, 《목민심서牧民心書》
- ‘1천 가지의 개혁방안 중에서도 간혹 한 가지 정도는 쓸 만할 것이 있다’는 《천일록千一錄》
- 벼슬하지 않는 사람의 백성에 대한 걱정을 담은 《곽우록藿憂錄》
박제가 초상
박제가朴齊家(1750∼1805)는 그가 가지고 있던 진취적인 생각만큼이나 호탕하고 괄괄한 성격을 가졌던 것 같습니다. 짙고 덥수룩한 턱수염도 그렇고, 거칠 것이 없어 보이는 눈매, 풍만하고 여유로워 보이는 볼 선 등은 그의 모습을 상상하기에 충분합니다.
이 그림은 그가 외교사절단의 한 사람으로 중국에 갔을 때인 1790년(정조 14), 북경 유리창의 관음각觀音閣에서 청나라의 화가인 라빙羅聘이 그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며 그려준 것입니다. 그는 또 이별의 정을 담은 시를 지어주기도 하였는데, 박제가와의 우정이 한껏 담겨 있습니다.
3천리 밖의 사람과 마주 하니
아름다운 선비를 만남이 기뻐 초상을 그려왔네
사랑스런 군의 아름다운 모습은 장차 무엇에 견줄 수 있으리오
매화인 줄 알았는데 사람으로 변했네
무슨 일로 그대를 만나 친하게 되었던가
홀연히 이별의 소식 들으니 쓰리고 아프네
이제껏 담박하고 아름다운 그대를 보았는데
하지만 이 그림은 현재 남아 있지 못합니다. 사진만 남아 있는데, 과천문화원에서 소장하고 있지요.